본문 바로가기
음식과 건강.문화

한국의 음식문화

by 드림즈컴츠루 2022. 10. 28.
반응형

한국의 음식문화2 에 이어 시식과 절식의 발달에 대해 계속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등석절식

음력 4월 초파일(8일) 석가탄신일에 집집마다 연등하고 손님을 초대하여 느티떡, 미나리강회, 콩조림 등 소찬으로 대접합니다. 이때의 절식으로는 녹두찰떡, 쑥편, 화전, 주악,석이단자, 국수비빔, 해삼전, 양지머리편육, 차돌박이편육, 신선로, 도미찜, 웅어회, 도미회, 미나리강회, 화채, 청면, 제육편육, 생실과, 햇김치 등이 있습니다.

○ 단오

설, 한식, 추석과 함께 4대 명절 중의 하나인 단오는 수릿날, 천중절 등으로도 불리며음력으로 5월 5일입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과 일본에서도 지키는 명절인데, 중국초나라 회왕 때 간신들의 모함을 받고 자신의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 멱라수에 투신자살했던 굴원을 기려 제사를 지내던 데서 유래했습니다. 이 날 우리 조상들은 한 해 농사의 절반이라고 일컬어질 만큼 고된 모내기를 마치고 그네뛰기, 씨름대회 등을 벌이며 풍년을기원했습니다. 여인들은 들판에 나가 쑥과 통증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는 익모초를 캐고 머리카락에 윤기가 나고 부드러워진다고 해서 창포잎과 뿌리를 우려낸 물에 머리를 감았습니다. 가정에서는 단옷날이 되면 더위가 시작되므로 궁중에서는 왕이 대신들에게 부채를선물했습니다. 이때의 절식으로는 수리취떡과 제호탕, 도미찜, 준치국, 붕어찜, 어채 등을차려 먹었습니다.

• 수리취떡:쑥처럼 향기가 강한 수리취잎을 쪄서 멥쌀가루에 반죽, 수레바퀴 모양의떡살로 찍어낸 수리취떡을 오미자차와 함께 먹었다. 수리란 고, 상, 신( 高,上 神)의 의미를 지닌 고어로 수레를 뜻합니다.

•제호탕: 일종의 청량음료로 오매, 축사, 백단, 사향 등을 달여 꿀을 섞은 차가운 차로 진상하였습니다.

○유두

음력 6월 보름(15일)에 동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고 재앙을 푼 다음 음식을 차려서 물놀이를 했습니다. 떡수단, 증편, 편수, 보리수단, 상치쌈 등을 절식으로 했습니다.

 

•상화병: 밀가루로 반죽을 밀어 콩과 깨를 꿀에 섞어 소를 넣고 찐 것입니다.

 

• 연병: 밀가루를 기름에 지져서 오이 등의 나물 소를 넣거나 콩과 들깨를 꿀에 섞어 소를 넣고 말아 색다른 형으로 만든 것입니다.

○삼복

가장 더운 절기이므로 땀을 많이 흘려 피로를 느끼기 쉬우므로 이때 몸을 보신하기 위한 음식을 즐겼습니다.

음식으로는 육개장, 삼계탕, 개장국, 임자수탕, 민어국 등이 있고 복중의 시식으로는 칼국수를 닭국물에 끓인 백마자탕, 미역을 넣어 끓인 칼국수, 호박을 섞어 부친 밀전병 등이 있습니다.

• 육개장: 쇠고기로 얼큰하게 끓여  맛을 낸 것입니다. 

•복죽 팥죽을 끓여 먹어 더위를 이깁니다.

○칠석

음력 7월 7일로 견우별과 직녀별이 만나는 날입니다. 아낙네들은 마당에 바느질 차비와 음식을 차려놓고 길쌈과 바느질을 관장한다는 직녀에게 길쌈과 바느질을 잘하게 해주기를 기원합니다.

이 날은 집집마다 옷과 책을 볕에 쪼여 습기를 없애는 풍습이 있습니다. 절식은 밀전병, 증편, 밀국수이고 생선은 잉어와 넙치가 제철이며 취나 고비 나물을 먹으며 복숭아화채, 오이소박이 등이 있습니다.

○ 백

망혼일 이라 하며 음력 7월 보름밤(15일)에 채소, 과일, 술, 밥 등을 차려놓고 죽은 어버이의 혼을 부르는 날입니다. 절식으로는 게장, 게찜, 두부, 순두부, 햇과일, 떡, 어리굴젓, 멸치젓 등이 있습니다.

○ 추석(秋夕)

음력 8월 15일은 설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큰 명절로서, 햇곡식을 추수하여 떡을 빚고 밤, 대추, 감 등의 햇과일을 따서 선조께 다례를 지내고 성묘하는 날입니다. 음식은 햅쌀,송편, 토란탕, 화양적, 지짐누름적, 닭찜, 배숙, 율란, 조란, 밤초, 햇콩밥, 햇밤밥, 송이산적, 송이찜, 햇과일 등이 있습니다.

• 송편 : 일찍 거둔 햅쌀을 빻아 익반죽하여 햇녹두, 청대콩, 깨 등을 속으로 넣어 송편을 빚습니다.

• 토란탕 : 토란이 많이 나는 계절이므로 다시마, 쇠고기를 넣어 맑은 장국으로 끓입니다.

• 누름적 : 햇버섯, 도라지, 고기, 파 등을 꿰어 화양적을 만들거나 지짐누름적을 합니다.

•닭찜 : 가을에 한참 살이 올라 맛있는 햇닭으로 닭찜을 합니다.

○중구

음력 9월 9일은 삼월 삼짇날에 온 제비가 다시 강남으로 떠나는 날입니다.

음식은 국화전, 국화주, 국화화채, 도루묵찜이 있고 시식으로는 전골, 신선로, 메밀만두, 밀만두, 떡볶이, 갈비요리, 두부찌개, 너비아니 등이 있고 떡은 호박고지 시루떡, 단자 등이 있습니다.

○10월 상달

10월 중순 중에 하루를 말날(馬)이라고 정해 햇곡으로 술을 빚고 시루떡을 만들어 마굿간에 갖다 놓고 말이 잘 크고 무병하기를 빕니다.

○ 시월절식

추운 계절로 접어 들면서 타락죽, 신선로, 연포탕 등의 따뜻한 음식을 준비하는데, 강정 등 한과도 함께 준비합니다.

• 팥시루떡 고사떡이라고도 하며 붉은 팥으로 고물을 얹어서 찐 시루떡입니다.

• 신선로 : 대표적인 궁중음식으로 숯을 넣은 화통이 가운데에 달려 있는 냄비에 육류, 해산물, 채소 등을 둘러놓고 웃기로는 고기완자, 은행, 호두 등을 얹어 끓여 먹는 음식입니다.

• 국화전 : 찹쌀을 익반죽하여 둥글게 빚어 국화잎으로 문양을 만들어 기름에 지져낸 떡입니다.

• 연포탕(軟泡湯) : 두부를 잘게 썰어 꼬치에 꿰어서 기름에 지져 닭고기와 같이 끓인국입니다.


○동지

대설 15일 후에서 소설 전까지의 절기로, 양력 12월 22일경입니다. 동지에는 팥죽을 먹는데 팥죽에는 찹쌀가루로 둥글게 빚은 새알심을 나이대로 넣어 떠주었습니다. 또 이 팥죽은 귀신을 쫓는다 하여 장독대와 대문에 뿌리기도 했습니다.

○ 납향절식

동지를 지나고 세 번째의 미일을 납일이라 하여 한해 동안 지은 농사에 대하여 신에게 고하는 제사를 말합니다. 제물은 사냥해 온 멧돼지나 산돼지를 쓰며 이를 납향 이라 합니다. 이 외에도 전약, 제육, 참새고기구이, 산토끼구이 등이 있습니다. 동지가 지난 겨울철 시식에는 청어, 대구, 전복, 굴, 냉면 등의 계절의 특미가 있습니다.

•전약:계피,후추, 당밀로 우피 를 삶아 고 모양으로 만듭니다.

•천청어: 동짓달에 청어를 종묘에 올립니다. 

○대회일

섣달 그믐을 말하며 이날 밤 일 년을 마무리하고 새로운 마음으로 새해를 맞이한다고 하여 제야 라고 합니다.

음식으로는 잡과병, 주악, 떡국, 만두, 모듬 전골, 통김치, 장김치, 전과, 수정과, 식혜 등이 있습니다.

반응형

'음식과 건강.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아시아 음식문화  (0) 2022.11.04
유럽의 음식문화  (1) 2022.10.30
한국의 음식문화  (0) 2022.10.24
식문화의 이해  (0) 2022.10.20
조리 문화의 창조와 변형  (1) 2022.10.18

댓글